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카카오홈페이지클론
- Klaytn
- React
- github
- 솔리디티
- blockchain
- 정보처리기사실기요약
- 노마드코더
- solidity
- git
- 비트코인
- ERC721
- it5분잡학사전
- 정보처리기사
- web3.js
- 페이지클론
- it5
- 2021정보처리기사실기
- npm
- 클레이튼
- ERC-721
- 노개북
- 정보처리기사실기
- 카카오페이지클론
- Non-Blocking
- ETH
- 콜백함수this
- node.js
- 블록체인
- 이더리움
- Today
- Total
목록blockchain (10)
Be lazy, Be crazy

안녕하세요, 오늘 local폴더를 클레이튼 IDE와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 순서 - 순차적으로 진행합시다. 1. sudo npm install @remix-project/remixd -g 2. sudo remixd -s 폴더절대경로 --remix-ide https://ide.klaytn.com/ ex) sudo remixd -s /Users/anhyeongjun/Desktop/coding/Dapp_template --remix-ide https://ide.klaytn.com/ (내 폴더명을 집어넣은 예시문이다. contract폴더가 아니라 root폴더 경로로 해주어야합니다.) 3. klaytn IDE로 접속 그리고 localhost연결하기(gif참조) 위와같은 화면이 보이면 진행이 원화할게 되었..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Smart Contrac 함수와 / web3.js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에서 트랜잭션을 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있습니다.(오프체인 방식) 한번만 학습하면 트랜잭션을 보내는 형식은 거의 똑같아서 금방 학습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목차 1. setToken 함수와 web3.js 2. mintNFT함수와 web3.js 3. setForSale함수와 web3.js 4. approveSale함수 5. purchaseToken함수와 web3.js 🌟 전체코드는 아래 접혀있는 글을 확인해 주세요! 더보기 더보기 https://lazy-crew.tistory.com/45 Toy Project - DAPP(WATTO)(1) 안녕하세요! 이번 프로젝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klaytn 바..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Docker를 왜 사용하는지 알아봅시다. 그리고 이해도를 높이기위해 간단한 예제를 실습해 봅시다. Container 왜 사용할까? 간단하게 현실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이유를 생각해 봅시다. 물자를 싣고 내릴 때에, 선박이 입항해 있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물자를 싣고 내릴 때 필요한 인력(분류하는 사람, 짐 옮기는 사람, 감독하는 사람)을 대폭 감소 물자를 싣고 내릴 때에 선박이 입항해 있는 시간이 길다 물자를 싣고 내릴 때 필요한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다시말해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얻는 이점이 더 많다"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갑시다. Docker 왜 사용할까? 개발자들은 이와 같이 물자의 수송에 획기적인 단축을 가져다 준 컨테이너 기술을 "소프트웨어 수송, 즉 ..

블록체인 기술은 왜 필요할까? 사토시 나카모토는 2008년 금융위기를 통해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현재의 금융 시스템에 한계를 느끼고 비트코인을 개발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화폐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 지, 또한 오늘날의 금융 시스템은 어떤 문제를 가지게 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성취목표 1. 기존금융 시스템을 이해보자. 2. 기존 금융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해 보자. 3. 화폐의 중요한 기능으로 본 비트코인(암호 화폐) ⌛️화폐의 역사 실물화폐 -> 조개 껍데기, 쌀 등 어떤 특정한 물건(그 시절 귀한 물건)을 자신들만의 화폐로 지정(실물화폐) 문제가 발생 - 내구성이없다, 상품의 질이 같지가 않다, 휴대성이 없다. 더보기 조선시대의 쌀을 예로들어 실물화폐의 문제점을 쉽게 설명..
항상 모든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자세하고 설명하도록 노력해보자!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잘못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이어서 ipfs 값을 가지고 어떻게 NFT를 발행하는지 알아 봅시다. 제일먼저 순서를 생각해봅시다. 제가 올리는 블로그에서 순서는 react -> server -> blockChain 순서로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 react 프론트에서 node.js 서버로 데이터를 넘겨주고 web3.js를 사용해서 mint를 진행 혹시나 순서는 먼저 contract를 작성한 후 배포해야지 web3.js를 사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이다. Contract를 배포하는 부분은 2가지로 배포할 수 있다. remix를..

안녕하세요 mongoose를 사용하면서 배열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하는데 있어 어려움이있었습니다. doc를 참조해서 문제를 해결 했으며 저와 같은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https://docs.mongodb.com/manual/reference/operator/update/positional/ mongoDB.DOC $ (update) — MongoDB Manual Docs Home → MongoDB Manual$The positional $ operator identifies an element in an array to update without explicitly specifying the position of the element in the array.Di..
gitignore에 .env파일을 추적하지 말라고했는데 계속해서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이부분을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고민하다가 찾아보고 그 방법을 공유합니다! git rm -r --cached . git add . git commit -m "gitignore 적용안되는 문제 해결" 특정파일에 대한 추적을 피하고 싶을때는 git rm --cached 특정경로/특정파일

항상 모든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자세하고 설명하도록 노력해보자!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잘못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reactJS / reactStrap / heroku /metamask / web3 / ipfs / MongoDB / node.js /postman /truffle / ganache를 사용했습니다. (1) 화면은 일반적은 reactStrap template를 사용했습니다. https://usecode.pw/free-react-dashboard/ 무료 리액트 어드민 대시보드 템플릿(Free React Admin Dashboard Template) 보통 서비스를 운영하게 되면 서비스 관리를 위해 별도로 관리자 페이지를 만들어 사..

♨항상 글 마지막에 질문을 남기는데 혼자서 고민해보고 답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항상 저 같은 ㅃㄷㄱㄹ를 위해서 자세하고 쉽게 설명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욕은 사절 비판은 환영* ▶ 니모닉이란? 니모닉 - 해시넷 니모닉(Mnemonic)이란 지갑을 복구하기 위한 12개의 단어이다. 개인 키가 너무 복잡한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갖춰진 형식이다. 니모닉의 어원은 그리스 신화 wiki.hash.kr - 블록체인에서 니모닉(Mnemonic)은 지갑을 복구하기 위한 일반적인 단어들의 조합을 뜻함! - 숫자의 나열처럼 직관적인 관계가 없어 외우기 어려운 정보에 대한 ex )9ce2aedc1cd8ab1a4acd4d753b0da1941a13707845ab4db9e1ccfb..

블록체인은 활용되는 목적 또는 공개 범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고, 그 종류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그리고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이 있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개방형 블록체인으로 누구나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는 블록체인 통상 블록체인이라 하면 퍼블릭 블록체인을 지칭 누구나 참여할수 있고, 모든 참여자의 상호 검증을 거쳐 신뢰도가 높다. 트랜잭션 내역이 모두에게 공개되어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Node)가 이를 검증하고 거래를 승인 하기 때문(장점) 모든 참여자의 거래 기록을 남기고 이를 공유하느라 처리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