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1정보처리기사실기
- 정보처리기사
- ERC-721
- npm
- github
- 비트코인
- 클레이튼
- 정보처리기사실기
- git
- 정보처리기사실기요약
- 카카오홈페이지클론
- Klaytn
- React
- 페이지클론
- node.js
- Non-Blocking
- 솔리디티
- ERC721
- 노마드코더
- solidity
- it5분잡학사전
- web3.js
- 이더리움
- it5
- blockchain
- ETH
- 블록체인
- 카카오페이지클론
- 노개북
- 콜백함수this
- Today
- Total
목록Klaytn (5)
Be lazy, Be crazy

안녕하세요, 오늘 local폴더를 클레이튼 IDE와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 순서 - 순차적으로 진행합시다. 1. sudo npm install @remix-project/remixd -g 2. sudo remixd -s 폴더절대경로 --remix-ide https://ide.klaytn.com/ ex) sudo remixd -s /Users/anhyeongjun/Desktop/coding/Dapp_template --remix-ide https://ide.klaytn.com/ (내 폴더명을 집어넣은 예시문이다. contract폴더가 아니라 root폴더 경로로 해주어야합니다.) 3. klaytn IDE로 접속 그리고 localhost연결하기(gif참조) 위와같은 화면이 보이면 진행이 원화할게 되었..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Docker를 왜 사용하는지 알아봅시다. 그리고 이해도를 높이기위해 간단한 예제를 실습해 봅시다. Container 왜 사용할까? 간단하게 현실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이유를 생각해 봅시다. 물자를 싣고 내릴 때에, 선박이 입항해 있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물자를 싣고 내릴 때 필요한 인력(분류하는 사람, 짐 옮기는 사람, 감독하는 사람)을 대폭 감소 물자를 싣고 내릴 때에 선박이 입항해 있는 시간이 길다 물자를 싣고 내릴 때 필요한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다시말해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얻는 이점이 더 많다"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갑시다. Docker 왜 사용할까? 개발자들은 이와 같이 물자의 수송에 획기적인 단축을 가져다 준 컨테이너 기술을 "소프트웨어 수송, 즉 ..

안녕하세요! 이번 프로젝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klaytn 바오밥 네트워크와, eth 롭스텐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Erc-20 / KIP-7 토큰을 이용해서 NFT를 구매(고정가,옥션가), 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배팅 프로젝트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 주된 설명의 내용은 contract가 될것같습니다. - 전체코드는 github를 참고해주세요. - contract부분을 보시게 되면 KIP와 eth를 구분해놨습니다. - contract 함수의 설명 && node.js 서버에서 배포된 contract를 web3.js에서 연결하는 방법 설명 전체 코드는 github를 참고해주세요! https://github.com/ms3221/BEB_01_final3 👍🏻 eth -NFT CONTRACT(전체코..
항상 모든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자세하고 설명하도록 노력해보자!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잘못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이어서 ipfs 값을 가지고 어떻게 NFT를 발행하는지 알아 봅시다. 제일먼저 순서를 생각해봅시다. 제가 올리는 블로그에서 순서는 react -> server -> blockChain 순서로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 react 프론트에서 node.js 서버로 데이터를 넘겨주고 web3.js를 사용해서 mint를 진행 혹시나 순서는 먼저 contract를 작성한 후 배포해야지 web3.js를 사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이다. Contract를 배포하는 부분은 2가지로 배포할 수 있다. remix를..

♨항상 글 마지막에 질문을 남기는데 혼자서 고민해보고 답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항상 저 같은 ㅃㄷㄱㄹ를 위해서 자세하고 쉽게 설명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욕은 사절 비판은 환영* WEB3.js란?▼ 더보기 더보기 Web3.js를 사용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갑시다! 오늘은 이더리움에 web3.js가 있다면 클레이튼에는 caver.js가 있다!!!!! 즉 js언어를 이용해서 이더리움 블록체이든, 클레이튼 블록체인이든 블록체인 과 상혹작용하는 클라이언트를 개발하는데 사용합니다. (*조잡하다고 욕하지마세요! 나도 최대한 해본거에요!!*) ※클라이언트(지금 당신이 보고있는 화면!! 또는 지금 보고있는 내 글 이것들이 클라이언트입니다.)※ 즉, 다시말해서 이 글은 클레이튼이 만들어 놓은 caver.js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