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클레이튼
- it5
- 2021정보처리기사실기
- git
- solidity
- 정보처리기사
- ERC721
- 이더리움
- it5분잡학사전
- React
- ERC-721
- Non-Blocking
- 정보처리기사실기
- npm
- ETH
- 콜백함수this
- github
- 노마드코더
- web3.js
- node.js
- Klaytn
- 카카오페이지클론
- 블록체인
- 정보처리기사실기요약
- blockchain
- 페이지클론
- 비트코인
- 솔리디티
- 노개북
- 카카오홈페이지클론
Archives
- Today
- Total
Be lazy, Be crazy
chapter - 블록체인 소개(1) 본문
728x90
반응형
블록체인은 활용되는 목적 또는 공개 범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고,
그 종류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그리고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이 있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 개방형 블록체인으로 누구나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는 블록체인
- 통상 블록체인이라 하면 퍼블릭 블록체인을 지칭
- 누구나 참여할수 있고, 모든 참여자의 상호 검증을 거쳐 신뢰도가 높다.
- 트랜잭션 내역이 모두에게 공개되어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Node)가 이를 검증하고 거래를 승인 하기 때문(장점)
- 모든 참여자의 거래 기록을 남기고 이를 공유하느라 처리 속도가 느리다(단점)(트랜잭션과 노드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블록체인의 유형을 소개하는데 중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 폐쇄형 블록체인으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상대적 개념
-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서비스 제공자(기업 또는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만 참여 가능
- 주로 기업에서 활용하여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Enterprise Blockchain)이라고도 한다.
- 퍼블릭 블록체인의 탈중화와는 다르게 중앙화된 특징이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 동일한 목적이나 가치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업과 단체들이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그안에서 작동하도록 만든 블록체인
- 대표적 리눅스재단이 주도하고 IBM등이 참여해서 만든 하이퍼레저 패브릭 프로젝트가 있다.
- 넓은의미에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한 형태이지만, 이를 별도로 구별하여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으로 분류
-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중간형태로, 중앙 관리자에 의해 승인 받은 참여자만이 블록생성에 참여 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유사한 개념
하이브리드 블록체인(hybrid blockchain)
이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서로 연결하거나 두 특징을 뒤섞은 혼합형 블록체인을 말합니다.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 형태입니다.
구분 | 퍼블릭 블록체인 (Public Blockchain) |
프라이빗 블록체인 (Private Blockchain) |
컨소시엄 블록체인 (Consortium BlockChain) |
관리자 | 모든 거래 참여자 | 한 중앙 기관이 모든 권한 보유 | 컨소시엄에 소속된 참여자 |
거버넌스 | 한번 정해진 법칙을 바꾸기 매우 어려움 |
중앙 기관의 의사결정에 따라 용이하게 법칙을 바꿀 수 없음 |
컨소시엄 참여자들의 합의에 따라 법칙을 바꿀 수 있음 |
거래속도 | 네트워크 확장이 어렵고 거래 속도가 느림 |
네트워크 확장이 매우 쉽고 거래 속도가 빠름 |
네트워크 확장이 쉽고 거래 속도가 빠름 |
데이터 접근 | 누구나 접근 가능 | 허가 받은 사용자만 접근 가능 | 허가 받은 사용자만 접근 가능 |
식별성 | 익명성 | 식별 가능 | 식별 가능 |
반응형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rdhat[오픈제플린 업그레이드] (0) | 2022.03.10 |
---|---|
1. blockchain이 대두된 이유 (0) | 2021.11.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