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RC-721
- 비트코인
- Klaytn
- 페이지클론
- 노마드코더
- React
- it5분잡학사전
- 이더리움
- git
- 블록체인
- Non-Blocking
- web3.js
- blockchain
- 콜백함수this
- 클레이튼
- ERC721
- node.js
- npm
- 정보처리기사
- ETH
- solidity
- 2021정보처리기사실기
- github
- 노개북
- 정보처리기사실기
- 정보처리기사실기요약
- 카카오페이지클론
- 솔리디티
- it5
- 카카오홈페이지클론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8)
Be lazy, Be crazy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기전에? 문제를 찾기위해서 노력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그 이유는? 문제점을 찾다보면 Dapp을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필요한 부분을 더 명쾌하게 찾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고민을 해보았다. 1. 블록체인 Dapp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무엇일까? 일반적인 블록체인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 지갑으로 메타마스크 사용법에 대해서 어려움과 귀찮음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용법들에 대해서 유튜브를 보면서 공부를 스스로 해야하는 귀찮음이 존재한다. 한 번에 클릭으로 인해서 자기소유의 자산을 잃어버릴수 있다는 위험성을 생각한다. 2. 이더리움 네트워크에는 사용되는 Dapp중에서 클레이튼에는 없는 것이 무엇일까? PERMINT PREMINT는 DAPP에서는 NFT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hardhat과 오픈제플린 몇몇의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업그레이드블한 컨트랙트를 배포해보자. 💡 hardhat은 무엇일까? 트러플과 유사한 이더리움 Dapp 개발도구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컴파일, 테스트, 배포 도구 기존에 "Buidler"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Hardhat"으로 변경 즉시 실행되는 내부(in-process) 가상 이더리움 네트워크 제공 web3.js 대신에 ethers.js를 사용합니다. 💡 hardhat test 폴더 생성 및 명령어 정리 1. 먼저 폴더를 만들 수 있도록합니다. mkidr {폴더명} 이렇게 만들든 그냥 GUI를 이용해서 만들든 상관은 없습니다. 2. 다음 cd 폴더명 / 또는 터미널의 위치를 생성한 폴더로 맞춰줄 수 있도록 합니다.(나의 폴더명 foolde) ..

깃을 이용할 때 종종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라는 오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오류는 git push를 진행할 때나 혹은 git pull을 진행할 때 발견할 수 있는 오류입니다. 로컬 저장소와 원격지의 저장소의 기록(History)을 비교했을 때 소스코드의 차이가 심한 저장소의 경우, 병합 오류가 날 것을 대비하여 오류 메시지를 띄우는 것입니다. 이럴 때는 --allow-unrelated-histories 옵션을 붙여서 pull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git fatal : Not a valid object name: 'master' 참고로 나중에 이런 오류를 만나게된다면 그건 너가 처음 init해준 Master 브랜치에서 초기 commit를 하지않..

What is the token economy? 토큰 이코노미는 "행동 교정" 프로그램의 한 종류로, 바람직한 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보상을 지급하고, 그렇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벌칙을 부과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토큰이라는 단어는 가능한 모든 종류의 보상 체계를 일컫는 통칭이다. 암호 화폐는 블록체인이 취할 수 있는 수많은 보상 체계중 하나일 뿐이다. 왜 채굴자들은 복잡한 과정을 진행하며 채굴을 할까? 결론부터 말해보자면, 그들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입니다. Token economy(BlockChain) 블록체인에서 토큰이코노미는 사용하는 코인 또는 토큰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윤을 창출하는 방법과 참여자들에게 보상을 주어 활성화 하는 방법, 분산원장의 거버넌스 등을 결합한 경제 생태..

안녕하세요, 오늘 local폴더를 클레이튼 IDE와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 순서 - 순차적으로 진행합시다. 1. sudo npm install @remix-project/remixd -g 2. sudo remixd -s 폴더절대경로 --remix-ide https://ide.klaytn.com/ ex) sudo remixd -s /Users/anhyeongjun/Desktop/coding/Dapp_template --remix-ide https://ide.klaytn.com/ (내 폴더명을 집어넣은 예시문이다. contract폴더가 아니라 root폴더 경로로 해주어야합니다.) 3. klaytn IDE로 접속 그리고 localhost연결하기(gif참조) 위와같은 화면이 보이면 진행이 원화할게 되었..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Smart Contrac 함수와 / web3.js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에서 트랜잭션을 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있습니다.(오프체인 방식) 한번만 학습하면 트랜잭션을 보내는 형식은 거의 똑같아서 금방 학습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목차 1. setToken 함수와 web3.js 2. mintNFT함수와 web3.js 3. setForSale함수와 web3.js 4. approveSale함수 5. purchaseToken함수와 web3.js 🌟 전체코드는 아래 접혀있는 글을 확인해 주세요! 더보기 더보기 https://lazy-crew.tistory.com/45 Toy Project - DAPP(WATTO)(1) 안녕하세요! 이번 프로젝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klaytn 바..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Docker를 왜 사용하는지 알아봅시다. 그리고 이해도를 높이기위해 간단한 예제를 실습해 봅시다. Container 왜 사용할까? 간단하게 현실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이유를 생각해 봅시다. 물자를 싣고 내릴 때에, 선박이 입항해 있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물자를 싣고 내릴 때 필요한 인력(분류하는 사람, 짐 옮기는 사람, 감독하는 사람)을 대폭 감소 물자를 싣고 내릴 때에 선박이 입항해 있는 시간이 길다 물자를 싣고 내릴 때 필요한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다시말해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얻는 이점이 더 많다"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갑시다. Docker 왜 사용할까? 개발자들은 이와 같이 물자의 수송에 획기적인 단축을 가져다 준 컨테이너 기술을 "소프트웨어 수송, 즉 ..

일단 해결했던 방법부터 말하자면 node 버전을 내리는 것으로 해결되었다. 나는 node 17를 사용중이었다. 이 부분을 node 16.13.2로 다운하니까 됬다. 그렇다면, node를 어떻게 내리는지 방법에 대해서 작성하겠다. 기본적으로 nvm이 다운로드 되어있는것을 전제로 진행하도록 하겠다. nvm install (node 버전) nvm list nvm use (node 버전) 이렇게 하면 node버전을 자기가 원하는 버전으로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node -v 명령어를 통해서 node버전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변경한 후 다시 npm install을 해보면 오류가 해결되었다.

유명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독자적인 보상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시스템상에서 채굴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는 것이 코인입니다. 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누구나 발행할 수 있는 지역화폐같은 존재입니다. 사실 이용자 입장에서는 토큰과 코인이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마치 ‘과자’와 ‘쿠키’ 같은 느낌입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론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국가(코인,메인넷)’와 ‘도시(토큰)’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국가가 있어야 도시가 존재하듯, 코인이 있어야 토큰이 존재합니다. 그럼 보상은 왜 필요할까요??? 노드가 합의를 위해 투자한 물리적 비용(채굴)에 대한 보상입니다. 쉽게풀어보자면 A라는 사람이 노드를 위해서 물리적 장비(컴퓨터, 그래픽카드)를 구매했습니다. 그리고 채굴을 시작하게 되면 또..
000지원자님, 😭 풀노드와 라이트노드의 기능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풀노드는 제네시스블록부터 현재 새롭게 생성되는 블록까지 모든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노드이다. 보통 블록을 추가(채굴)하고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스마트폰과 같이 성능이 부족한 노드들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라이트 노드이며, 블록헤더(메타데이터) 만을 저장한다. 지갑의 기능과 트랜잭션 검증을 수행하는데, 트랜잭션 검증을 할때에 인근 풀 노드에게 해당 트랜잭션 검증을 위해 필요한 머클리 정보를 요청하여 머클루트를 계산 해 내어, 가지고있는 머클루트와 비교해 트랜잭션 검증을 수행한다. 000지원자님, 😭 비트코인, 이더리움에서 트랜잭션 검증은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모두 타원곡선디지털서명(..